겉으로 아닌 듯 행동해도 대다수 관리자는 진실을 원한다. 일정에 쫓기더라도 대다수 관리자는 좋은 코드를 원한다. 그들이 일정과 요구사항을 강력하게 밀어붙이는 이유는 그것이 그들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좋은 코드를 사수하는 일은 바로 우리 프로그래머들의 책임이다.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yes24.com)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애자일 소프트웨어의 혁명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 로버트 마틴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정제 www.yes24.com
헛소리! 앞으로 코드가 사라질 가망은 전혀 없다! 왜? 코드는 요구사항을 상세히 표현하는 수단이니까! 어느 수준에 이르면 코드의 도움 없이 요구사항을 상세하게 표현하기란 불가능하다. 추상화도 불가능하다. 정확히 명시하는 수밖에 없다. 기계가 실행할 정도로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명시하는 작업, 바로 이것이 프로그래밍이다. 이렇게 명시한 결과가 바로 코드다.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yes24.com)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애자일 소프트웨어의 혁명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 로버트 마틴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정제 www.yes24.com
깨끗한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은 배우기 어렵다. 단순히 원칙과 패턴을 안다고 깨끗한 코드가 나오지 않는다. 고생을 해야 한다. 스스로 연습하고 실패도 맛봐야 한다. 남들이 시도하다 실패하는 모습도 봐야 한다. 그들이 넘어지고 일어서는 모습도 봐야 한다. 결정을 내리느라 고민하는 모습, 잘못된 결정으로 대가를 치르는 모습도 봐야 한다.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yes24.com)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애자일 소프트웨어의 혁명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 로버트 마틴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정제 www.yes24.com
장인 정신을 익히는 과정은 두 단계로 나뉜다. 바로 이론과 실전이다. 첫째, 장인에게 필요한 원칙, 패턴, 기법, 경험이라는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둘째, 열심히 일하고 연습해 지식을 몸과 마음으로 체득해야 한다.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yes24.com) Clean Code 클린 코드 - 예스24 애자일 소프트웨어의 혁명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 로버트 마틴은 오브젝트 멘토(Object Mentor)의 동료들과 힘을 모아 ‘개발하며’ 클린 코드를 만드는 최상의 애자일 기법을 정제 www.yes24.com
구조를 만드는 일은 곧 요소(element)들끼리 관계(relation)를 만드는 일입니다. 요소와 관계를 벽돌과 시멘트라고 생각해봅시다. 빵과 땅콩버터라고 생각해도 좋습니다. 요소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기본 조각입니다. 관계는 연관된 요소들이 함께 동작해서 특정 작업을 완수하는 단위입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1865885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 예스24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거듭나기! 초보 아키텍트를 위한 실전 입문서『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는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변화의 첫걸음을 내딛는 이를 위한 실전 입문서다. 설계를 위한 필 www.yes24.com
출처 : https://learn.microsoft.com/ko-kr/visualstudio/ide/class-designer/designing-and-viewing-classes-and-types?view=vs-2022 클래스 디자이너를 사용하여 디자인, 시각화 및 리팩터링 - Visual Studio (Windows) Visual Studio에서 클래스 디자이너를 사용하여 코드에서 클래스, 기타 형식 및 해당 관계를 디자인, 시각화 및 리팩터링합니다. learn.microsoft.com 클래스 디자이너가 디폴트로 선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수작업으로 설치를 해주어야 한다. 유니티 에디터의 Preference 팝업에서 아래와 같이 Visual Studio 2022를 선택한 상태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