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727

[Unity] GameObject.FindGameObjectWithTag() 빠르지만 안 쓰는 이유

Unity 버전 : 2021.3.8f1 LTS Tag 는 매우 유용한 식별자이긴 하다. tag가 빠른 이유는 내부적으로 문자열을 숫자 형태로 변환해 태그 비교 속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 책 [유니티 C# 스크립팅 마스터하기] 중 그러나 Tag를 잘 쓰지 않는 이유는 분명하다. 아래와 같이 모니터 화면 안에 다 보이면 좋지만, 게임을 개발하다 보면 자꾸 tag 추가해야 해서 리스트를 스크롤 해야 되는 상황이 생긴다. 따라서 tag는 꼭 필요한 곳에서만 쓰는 것이 좋다. 아래 OnTriggerEnter()와 같이 특정 유니티 이벤트 함수에서 특정 물체와 충돌했는지 판단할 때 tag가 쓰일 수 있다. private void OnTriggerEnter2D(Collider2D collision) { if (..

Engine/Unity 2022.09.15

[Unity] private 변수를 에디터 인스펙터 상에서 보려면 (디버깅 용)

Unity version : 2021.3.8f1 LTS private 으로 설정된 변수를 유니티 인스펙터 상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간단히 인스펙터 상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오른쪽 상단의 버튼을 클릭하면 메뉴가 열린다. Normal로 체크 되어 있는 것을 Debug로 변경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private을 포함한 모든 변수들이 인스펙터 상에 표시된다.

Engine/Unity 2022.09.15

[Unity] SendMessage(), BroadcastMessage() 안 쓰는 이유

유니티 공식 스크립팅 API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코드로 SendMessage()를 활용하고 있다. 무척 유용해 보이지만 성능 상의 이유로 잘 쓰지 않는다.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Example : MonoBehaviour { void Start() { // Calls the function ApplyDamage with a value of 5 // Every script attached to the game object // that has an ApplyDamage function will be called. gameObject.SendMessage("ApplyDamage", 5.0); } } public class Example2 : MonoBehaviour { ..

Engine/Unity 2022.09.15

책 [개발자로 살아남기] 좋아하는 문구

첫 번째 지식은 공부를 해야 쌓입니다. 지식을 쌓는 공부는 혼자서 하는 영역입니다. 물론 일하면서도 지식을 쌓을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본인이 하지 않으면 쌓을 수 없다는 측면은 같죠. 두 번째 숙련도는 같은 일을 여러 번 오래 반복해야 쌓을 수 있습니다. 결국 프로그래밍, 프로젝트, 소통, 협업을 해봐야 숙련도가 높아집니다. 얼마나 열심히 하냐에 따라 공부와 숙련에 드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반면 경험을 쌓는 데 드는 시간은 단축하기 어렵습니다. 경험은 성공과 실패를 해봐야 하고, 이런 사람 저런 사람도 만나봐야 합니다. 다행인 것은 강연이나 책으로 다른 사람 경험을 간접 습득하면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왜 많은 사람이 책을 강조하는지 이제 알겠죠?

DevLog 2022.09.12

책 [돈의 속성] 좋아하는 문구

음식과 주거가 해결되지 못할 정도로 가난한 상태가 아니라면 누구든 저축을 하고 재산을 모아 투자도 해서 부자가 될 수 있다. 단언컨대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사람, 물건을 부주의하게 매번 잃어버리는 사람, 작은 돈을 우습게 아는 사람, 저축을 하지 않는 사람, 투자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람은 절대 부자가 되지 못한다. 부는 그런 사람에게 우연히 들렀어도 순식간에 돌아서서 나온다.

LifeLog/Finance 2022.09.10

책 [돈의 속성] 좋아하는 문구

좋은 포트폴리오는 투자자에게 '평상심'을 유지하게 해준다. 포트폴리오 이론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해리 마코위츠는 평상심을 유지하는 것이 투자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한다. 그 역시 채권과 주식에 50 대 50으로 분산해 투자했다고 말했다. 경제학자 메어 스탯먼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열 개 종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돌발성 위험의 84%를 제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LifeLog/Finance 2022.09.10